안녕하세요 선생님, 감사히 정독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영가설에 대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4
betacreativity
started this conversation in
General
Replies: 1 comment
-
안녕하세요. 평균에 차이가 없는 데이터가 관측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면 평균에 차이가 없다는 영가설을 기각한다는 의미입니다. "영가설이 맞다고 했을 때"는 전제 조건을 나타냅니다. 감사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0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
교제 p.398의 영가설의 유의수준에 대한 설명에대해 이해못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교제 내용을 보면, " 영가설의 경우 두 모집단의 평균에 차이가 없을 것이라 가정하고, z점수를 계산할 수 있고 이렇게 계산한 z 점수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영가설이 맞다고 했을 때, 평균에 차이가 없는 데이터가 관측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의미이고 따라서 영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는 문장이 이해가 가질 않아서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영가설이 맞다고 했을 때, 평균에 차이가 없는 데이터가 관측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의미" 라는 문장이 이해가 어려워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말씀드리면, 평균에 차이가 없는 데이터는 영가설을 지지하는 데이터이며 이들(평균에 차이가 없는 데이터)이 관측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은 대립가설을 지지한다고 이해하였습니다. 따라서
영가설이 맞다고 했을 때, 라는 문장 뒤에 "평균에 차이가 없는 데이터가 관측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의미" 라는 문장이 서로 반대되는 내용이지 않을까 생각하였습니다.
혹시 "z점수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영가설이 틀리다고 했을 때" 가 옳은 설명일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