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7. CCTV 영상의 동작 분석으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119에 자동 신고 ( 공공기관 관제 센터 대상 )
👍 (배장한) 자동 신고 기능이 피해자가 직접 신고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한 해결점이라서 좋은 듯
👎 CCTV는 화질이 떨어져서 인식이 안될 확률이 높음
1. (배장한) 👍 ai hub 보다보니 생각보다 cctv 화질이 괜찮은 것 같아요. (낮의 경우)
2. (배장한) 👎 하지만 밤의 경우에는 화질만이 문제가 아닌 듯.
1) 👍 (김재민) 칼부림 사고가 많이 나고 있고 뉴스 보도를 보면 낮에 대부분 일어나기에 밤은 생각할 필요 없다.
👍 (김재민) 실제 CCTV가 아니라 예시 상황 연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해도 될 듯. 화질 좋은 카메라로
👎 (조인철) 행동을 통한 예측이라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 (배장한) 119에 자동으로 신고하는 기능은 구현 가능한가?
1. 👍 (김재민) 119 문자 신고 - 문자 api 활용
(황채림) 웹서비스의 사용자는 일반 시민이 아닌 119 관제센터 등에서 신고 내용을 확인하는 용도가 될 듯
👍 (이재호) 영상내에서 이상행동 탐지가 구현이 어떨지는 잘 모르겠지만 구현이 제대로 된다면 공공기관에서 참고를 하는 용도로 적용까지 가능할것같다
👎 (배장한) CCTV에 찍힌 범인의 얼굴이 각도가 엄청 다양할텐데, 몽타주나 민증 사진은 정면일 것. 이 둘로 범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가?
👎(김수연) 개인정보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확보 가능성도 없고 법적으로나 기술윤리 측면에서나 문제 소지.
9. (배장한) 온라인 수업 시 학생의 표정 분석으로 수업을 이해했는지(집중했는지) 분석하는 서비스
👎 엘리스 ai 트랙에서 비슷한 프로덕트를 제안했었음.
1. 👍 (배장한) 오히려 좋아. 구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
2. 👎(황채림) ai 트랙에서 완전 똑같이 나왔던 아이디어는 다른 팀과 겹칠 가능성이 높음. 아이디어가 비슷하면 기획서를 크게 잘 써야만 예선 통과 가능함.
👎 (배장한) 온라인 수업 매체와 연계되어야 함. 가능한가? 아니라면 직접 webrtc 기술을 활용해서 화상 통신 플랫폼을 만들어야 함.
10. 시각장애인의 gps 데이터를 사용, 실시간 CCTV 영상 분석으로 근처 시각장애인 발판 위에 장애물이 존재할 때 휴대폰 음성 알람을 보내주는 서비스
👎빠른 시간 내에 알림을 보내야 실효성이 있는데 가능할지 의문
1. 👍(황채림) 2회차 수상작에 도로 위 주정차차량 인식으로 긴급차량 통행 여부에 대한 주제가 있는데, 사람의 보행은 차량에 비해 느리니까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
👍(황채림)요즘 도로 위 킥보드나 자전거 같은 장애물이 증가하여 보행에 어려움이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
👎(황채림)기존 수상작들에 도로환경 인식과 시각장애인 관련 주제가 많아 차별점이 있나?
1. 👍(황채림) 도로 위 장애물 주제는 차량 통행 면에서만 존재하고, 시각장애인 주제는 횡단보도 혹은 약통이기 때문에 보행 “알림” 서비스는 충분히 차별적이라고 생각
👍(황채림) 관련 데이터셋이 많기 때문에 실현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황채림) 사회적 기여도 및 파급효과 면에서도 점수가 높을 것이고 추후 카메라를 지급하여 인식한다는 아이디어로 지속 가능성 및 확장성까지 챙길 수 있을 듯
👍(김수연) 추후 앱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우선 모바일 친화적인 웹사이트로 구현하겠다는 방향으로 어필하면 괜찮을 것 같음.
1. 👎(황채림) 아무리 모바일 친화적이더라도 웹사이트는 알림을 보낼 수 없음. 알림이 주요 기능인 서비스에서 알림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
11. 카메라 + 웹소켓으로 시각장애인 분들을 위한 장애물 알람 서비스(9에서 gps 대신 카메라로 대체)
👍(황채림) 구현 중에는 휴대폰 카메라, 실제 서비스한다면 목걸이형 소형 카메라로 인식하여 장애물 알림을 해도 될 듯
1. 👍 (배장한) 오히려 개발에 착수한다면 소형카메라에서의 상황 인식을 구현하는 ㄴ것이 우선시 되어야할 것 같아요. 소형카메라가 안 될 경우 대안으로서 CCTV를 고려하는 개발 프로세스는 어떤가요?
2. 👎(황채림) 카메라가 실시간 영상을 스트리밍 해서 분석해야 하는데 웹통신이 되는 카메라의 가격과 성능 문제
12. (김수연) 골절 등 부상, 관절 질환 환자들을 위한 올바른 재활치료운동 자세 교정 서비스, 카메라로 본인의 운동 영상을 찍어 올리면 분석 후 교정 자세를 제공
👍 (조인철) 부상으로 인해 다니기 힘든 사람들에게 좋은 서비스가 될 것 같음
👎 (배장한) AI PT와의 차별점이 본인의 운동 영상에 대한 분석인 것 같은데, 분석의 주체가 AI라면 기술적으로 가능한 부분인가?
1. 👍 (배장한) 같은 증상, 문제의 사용자가 받은 운동 처방을 안내해주는 방식이면 핵심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할 수 있음.
reacted with thumbs up emoji reacted with thumbs down emoji reacted with laugh emoji reacted with hooray emoji reacted with confused emoji reacted with heart emoji reacted with rocket emoji reacted with eyes emoji
-
0920,21 아이디어 회의
이전 프로젝트 공유
배장한
김재민
황채림
김수연
새로운 아이디어 평가
⇒ 각 카테고리를 -1(부정), 0, +1(긍정)으로 평가해주세요
### 1. 구해줘 댕냥쓰에 차별점을 줘서 발전시키는 방향
2. (김수연) 택시기사들을 위한 안심 운전 서비스, 승객의 감정이나 액션을 감지해서 이상 행동 발생 시 알람, 알람을 세 번 이상 해제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112 신고?
3.
자전거 피팅 서비스👍 (김재민) 고정된 카메라, 정해진 무릎, 허리, 팔 각도👍 (김재민) 기존에는 비싼 돈 주고 전문가에게 피팅을 받아야 했다.👎 (조인철) 올바른 자세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황채림) 사람에 따라 같은 각도에서도 편하거나 불편할 수 있을 텐데 평가가 가능한가?4.
(배장한) 얼굴인식으로 단골인지 알려주는 서비스(배장한) 👎 👎(김재민)누구를 위한 서비스인가? 공공성 측면에서 좋은 점수 받기는 어려울 듯.1.
(배장한) 👍 공공성, 사회적 기여도는 본선에서의 평가 기준, 예선 통과 후에 피봇해도 될지도? 아니면 공공성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더 뽑아낸다면?👍 (김재민) 단골 사장님이 아는 척 안하고 서비스 줬으면 하는 니즈는 개인적으로 있다.👎(조인철) 미리 설명을 하고 개인 정보 동의 등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5.
얼굴인식으로 서명 대체?👎 (배장한) 아이디어가 구체화되지 않아서 구현 가능성을 잘 모르겠다👎 (황채림) 현재의 얼굴인식으로 비밀번호 대체와 완전히 같은 기능이라고 생각이 든다👎 (김재민) 얼굴 인식을 하더라도 화장 등으로 실제 사용에 실효성이 있을지 모르겠다.6.
CCTV 영상 분석으로 쓰레기 불법투기 발견 시 이미지와 거주지 파악 및 정리👎 (배장한) 👎(황채림) 특정 인물로 제한이 되지 않는 이상 단속 의미가 없을 것 같다👍 (김재민) yolo v3로 쓰레기봉투 색깔 인식해서 파악 할 수 있을 수도👎 (조인철) 거주지 파악 후에서 끝이 아닌 다른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김재민) 거주지를 파악할 방법이..👎 (김수연) 법적인 문제 소지가 있을 것 같은…1.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434064👎 (이재호) 앞에서 말한것처럼 거주지에 대한 막연한 부분에서 문제가 될거 같다.불법투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듯. 종량제 봉투인데 지정된 날짜/시간이 아닌 것, 봉투 없이 쓰레기만 버리는 것, 지정된 용량을 초과해서 마구잡이로 넣는 것👎(황채림) 사각지대 같은 경우는 단속 불가http://www.therepo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39
7. CCTV 영상의 동작 분석으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119에 자동 신고 ( 공공기관 관제 센터 대상 )
1. (배장한) 👍 ai hub 보다보니 생각보다 cctv 화질이 괜찮은 것 같아요. (낮의 경우)
2. (배장한) 👎 하지만 밤의 경우에는 화질만이 문제가 아닌 듯.
1) 👍 (김재민) 칼부림 사고가 많이 나고 있고 뉴스 보도를 보면 낮에 대부분 일어나기에 밤은 생각할 필요 없다.
1. 👍 (김재민) 119 문자 신고 - 문자 api 활용
[지하철 역사 내 CCTV 이상행동 영상] https://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174
[주거 및 공용공간 내 이상행동 영상(칼부림 有) https://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515
8.
ATM기에 찍힌 보이스피싱 수금책의 얼굴과 몽타주(혹은 주민등록증 사진) 매칭 서비스👍 (김재민) 각도가 고정이다.👎 (김재민) 범인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할까? 범인 얼굴에 대해 트레이닝?👎 (배장한) CCTV에 찍힌 범인의 얼굴이 각도가 엄청 다양할텐데, 몽타주나 민증 사진은 정면일 것. 이 둘로 범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가?👎(김수연) 개인정보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확보 가능성도 없고 법적으로나 기술윤리 측면에서나 문제 소지.9.
(배장한) 온라인 수업 시 학생의 표정 분석으로 수업을 이해했는지(집중했는지) 분석하는 서비스👎 엘리스 ai 트랙에서 비슷한 프로덕트를 제안했었음.1.
👍 (배장한) 오히려 좋아. 구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2.
👎(황채림) ai 트랙에서 완전 똑같이 나왔던 아이디어는 다른 팀과 겹칠 가능성이 높음. 아이디어가 비슷하면 기획서를 크게 잘 써야만 예선 통과 가능함.👎 (배장한) 온라인 수업 매체와 연계되어야 함. 가능한가? 아니라면 직접 webrtc 기술을 활용해서 화상 통신 플랫폼을 만들어야 함.10. 시각장애인의 gps 데이터를 사용, 실시간 CCTV 영상 분석으로 근처 시각장애인 발판 위에 장애물이 존재할 때 휴대폰 음성 알람을 보내주는 서비스
1. 👍(황채림) 2회차 수상작에 도로 위 주정차차량 인식으로 긴급차량 통행 여부에 대한 주제가 있는데, 사람의 보행은 차량에 비해 느리니까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
1. 👍(황채림) 도로 위 장애물 주제는 차량 통행 면에서만 존재하고, 시각장애인 주제는 횡단보도 혹은 약통이기 때문에 보행 “알림” 서비스는 충분히 차별적이라고 생각
1. 👍 (김재민) 반응형으로
2. 👍 (김재민) 악! 소리 alert
3. 👍 (황채림) 앱 알림을 보내면 시각장애인 휴대폰에서 tts로 읽어주는걸 생각했음
1. 👎(황채림) 아무리 모바일 친화적이더라도 웹사이트는 알림을 보낼 수 없음. 알림이 주요 기능인 서비스에서 알림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
[인도 보행 영상] https://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189
[베리어프리존 주행 영상] https://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186
11. 카메라 + 웹소켓으로 시각장애인 분들을 위한 장애물 알람 서비스(9에서 gps 대신 카메라로 대체)
1. 👍 (배장한) 오히려 개발에 착수한다면 소형카메라에서의 상황 인식을 구현하는 ㄴ것이 우선시 되어야할 것 같아요. 소형카메라가 안 될 경우 대안으로서 CCTV를 고려하는 개발 프로세스는 어떤가요?
2. 👎(황채림) 카메라가 실시간 영상을 스트리밍 해서 분석해야 하는데 웹통신이 되는 카메라의 가격과 성능 문제
12.
(김수연) 골절 등 부상, 관절 질환 환자들을 위한 올바른 재활치료운동 자세 교정 서비스, 카메라로 본인의 운동 영상을 찍어 올리면 분석 후 교정 자세를 제공👍 (조인철) 부상으로 인해 다니기 힘든 사람들에게 좋은 서비스가 될 것 같음👎 (배장한) AI PT와의 차별점이 본인의 운동 영상에 대한 분석인 것 같은데, 분석의 주체가 AI라면 기술적으로 가능한 부분인가?1.
👍 (배장한) 같은 증상, 문제의 사용자가 받은 운동 처방을 안내해주는 방식이면 핵심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할 수 있음.(김수연) 관련 데이터셋 : https://www.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626👎 (김수연) 인풋 데이터 사이즈가 커서 처리 어려울 수 있음, pose estination과 sequence별 tracking 등 여러 모델을 접목해서 사용해야할 수 있음.👎 (황채림) AI PT에서 휴대폰으로 전신을 찍으려 하니 화면이 잘 안 보여 이용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았는데, 이건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니 더 어려울 것 + 👎 (김재민)👎 (이재호) 자세 교정이라는것이 삼각대에서 찍은 각도로 정확히 판별에 대한 의문, 카메라 놓는 위치에 따라서 결과가 많이 달리질거 같다👎 (황채림) 환자 개별의 몸 상태마다 취할 수 있는 자세나 동작이 다를텐데 일괄적으로 이 자세가 되어야 한다!고 하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배장한) 인공지능이 제공해준 개별화된 솔루션이 정말 효과가 있을지 의문.13. 휴대폰 촬영으로 물건을 구분해 시각장애인 생필품 구매를 돕는 서비스
14.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생리대의 안 좋은 성분을 알려주는 서비스
화해처럼 사용은 가능하지만 유해한 성분에 대한 알림
생리대 성분 해석 서비스
👍 (황채림) 추후 생리대 뿐만 아니라 큰 카테고리로 확장 가능성
1. https://ecolife.me.go.kr/ecolife/unityHrmPrd/unityHrmPrdIndex?prdtarmCd=07&side=SM020301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